- 인도는 2023년 중국을 제치고 세계 인구 1위 국가가 되었으며, 2100년까지 그 위치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 중국은 출산율 하락과 고령화로 인해 2100년까지 인구가 절반으로 줄어들지만 여전히 2위를 유지할 전망.
- 아프리카 국가들(DRC, 나이지리아, 에티오피아 등)은 2050년 이후 급격히 순위 상승, 인구 증가의 핵심 지역으로 부상함.

유엔 세계 인구 전망(2024년판)에 따르면, 출산율, 사망률, 이주 흐름 등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2100년까지의 인구 예측이 제시되었다. 해당 예측에 따르면, 인도와 중국은 금세기 말까지 여전히 인구 상위 국가로 남겠지만, 아프리카 국가들의 약진이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
인구 상위 15개국 (단위: 억 명)
순위 | 2025 | 2050 | 2100 |
---|---|---|---|
1 | 인도 (14.6억) | 인도 (16.8억) | 인도 (15.1억) |
2 | 중국 (14.1억) | 중국 (12.6억) | 중국 (6.3억) |
3 | 미국 (3.47억) | 미국 (3.81억) | 파키스탄 (5.11억) |
4 | 인도네시아 (2.86억) | 파키스탄 (3.72억) | 나이지리아 (4.77억) |
5 | 파키스탄 (2.55억) | 나이지리아 (3.59억) | 콩고민주공화국 (4.31억) |
6 | 나이지리아 (2.38억) | 인도네시아 (3.21억) | 미국 (4.21억) |
7 | 브라질 (2.13억) | 에티오피아 (2.25억) | 에티오피아 (3.67억) |
8 | 방글라데시 (1.76억) | 콩고민주공화국 (2.18억) | 인도네시아 (2.96억) |
9 | 러시아 (1.44억) | 브라질 (2.17억) | 탄자니아 (2.63억) |
10 | 에티오피아 (1.36억) | 방글라데시 (2.15억) | 방글라데시 (2.09억) |
11 | 멕시코 (1.32억) | 이집트 (1.62억) | 이집트 (2.02억) |
12 | 일본 (1.23억) | 멕시코 (1.49억) | 브라질 (1.63억) |
13 | 이집트 (1.18억) | 러시아 (1.36억) | 앙골라 (1.50억) |
14 | 필리핀 (1.17억) | 필리핀 (1.34억) | 수단 (1.37억) |
15 | 콩고민주공화국 (1.13억) | 탄자니아 (1.30억) | 멕시코 (1.30억) |
중국 인구 급감 및 고령화
중국은 ‘한 자녀 정책’의 여파로 출산율이 급격히 하락했으며, 2100년까지 인구가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고령 인구 비중이 급증하면서 사회복지와 의료 시스템에 큰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아프리카의 부상
콩고민주공화국, 나이지리아, 에티오피아, 탄자니아 등은 출산율 증가와 인구 구조의 젊음으로 인해 순위가 급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콩고민주공화국은 2100년에는 세계 3위의 인구 대국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2100년 이후 전망
현재 추세대로라면, 2100년까지 다시는 어떤 국가도 인구 10억 명을 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인도조차 감소세를 보이며, 전 세계적인 출산율 저하와 고령화의 흐름이 이어질 전망이다.
Source : Visual Capitalist, Ranked: The World’s Most Populous Countries (2025–2100P)
'국제 | 사회 |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트 녹스에는 얼마나 많은 금이 보관돼 있을까? (0) | 2025.03.27 |
---|---|
우리나라는 해외 원조를 얼마나 할까? (0) | 2025.03.27 |
2025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경제 순위 (0) | 2025.03.27 |
글로벌 정책의 불확실성은 현재 얼마나 될까?(Feat.트럼프) (0) | 2025.03.27 |
미국의 럭셔리 여행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0) | 2025.03.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