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 | 사회 | 시사...82

관세 전쟁 선포 이후 중국의 현재 상황은? 중국 공장들이 대규모로 가동을 중단하고 근로자들을 무급휴직 또는 해고시키는 사태가 발생하고 있음미중 무역 전쟁으로 수출 주문이 급감하면서 중국 내 산업 전반에 타격이 확산사회 안전망이 부족한 중국에서 장기적인 경제 충격이 불가피하며, 정책 대응은 지연될 가능성 있음 중국 전역의 공장들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촉발한 무역 전쟁의 여파로 주문이 급감하면서 생산 중단과 근로자 무급휴직을 단행하고 있다. 특히 청바지, 전기 제품, 장난감 등 미국 수출 의존도가 높은 품목을 생산하는 공장들이 가장 큰 타격을 받고 있다.미국이 대부분의 중국 제품에 145% 이상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일부 원자재 수입을 제한하면서, 많은 미국 바이어들이 주문을 취소하거나 연기했다. 작년 기준 중국 수출의 약 15%가 미국으.. 2025. 4. 25.
트럼프 집권 후 AI산업은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2025년 4월, 트럼프 대통령은 "Make America Wealthy Again" 정책의 일환으로 중국산 제품에 14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함.중국은 이에 대응하여 미국산 제품에 125%의 관세를 부과함.초기 발표에서는 반도체와 전자제품에 대한 관세 면제를 시사했으나, 이후 소셜미디어를 통해 면제는 없다고 입장을 번복함.4월 15일, 미국 정부는 국가 안보 조사를 명목으로 반도체 및 관련 장비에 대한 관세 부과 가능성을 열어둠.이번 조사는 반도체뿐 아니라 이를 제조하는 기계와 칩이 포함된 모든 제품에 적용됨.반도체는 AI 기술의 핵심 부품으로, 고성능 컴퓨팅과 병렬 연산을 가능하게 함.이러한 칩은 생성형 AI, 자율주행차, 얼굴 인식 등에 필수적임.미국은 현재 반도체 대부분을 대만과 한국 등 해외에 .. 2025. 4. 24.
제1차 세계대전, 우리가 몰랐던 숨겨진 진실 (3) 제1차 세계대전, 우리가 몰랐던 숨겨진 진실 (2) : https://dhoons.tistory.com/357 제1차 세계대전, 우리가 몰랐던 숨겨진 진실 (2)제1차 세계대전, 우리가 몰랐던 숨겨진 진실 (1) : https://dhoons.tistory.com/356 핵심 인물과 조직의 기원(1) 세실 로즈(Cecil Rhodes)의 비전제1차 세계대전의 숨겨진 배경을 이해하려면, 먼저 세실 로즈라dhoons.tistory.com 제1차 세계대전으로 가는 길(1) 보어 전쟁(Boer War)의 실험성과 제국주의적 전초전제1차 세계대전의 전략은 결코 전쟁이 시작된 1914년에 갑자기 등장한 것이 아니다. 이미 그보다 15년 이상 앞선 시점에서, 영국 제국은 식민지 통제와 제국주의 확장의 모델을 실제.. 2025. 4. 15.
제1차 세계대전, 우리가 몰랐던 숨겨진 진실 (1) 많은 사람들은 제1차 세계대전에 대해 이미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 흔히 알려진 것처럼, 1914년 사라예보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태자 프란츠 페르디난트가 암살된 사건을 계기로 전쟁이 시작되었고, 유럽 열강 간의 갈등이 걷잡을 수 없이 확대되면서 참혹한 결과를 낳았다는 것이 일반적인 설명이다.하지만 과연 그것이 전부일까?실제로 역사는 우리가 배운 교과서 속 단순한 이야기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심오한 배경을 가지고 있다. 특히, 세계 역사를 바꿔 놓은 제1차 세계대전과 같은 중대한 사건은 결코 우연히 발생하거나 단순히 감정적 반응만으로 시작된 것이 아니다.이 글에서 나는 우리가 잘 모르는 제1차 세계대전의 이면에 숨어있는 더 깊고 본질적인 질문에 답을 찾아갈 것이다.이 끔찍한 전쟁을 실제로 계획.. 2025. 4. 14.
세상을 지배하는 엘리트들의 대중에 대한 생각 ‘엘리트’는 단순히 부자나 권력자가 아닌, 세계를 통제하려는 의도를 가진 사람들로 묘사됨이들은 막대한 부와 권력을 통해 정부, 전쟁, 금융, 건강 정책 등을 조종함이러한 엘리트 계층은 일반인과는 심리적으로도 완전히 다른 존재일 수 있음많은 사람들이 내가 “엘리트(elite)”라는 단어를 사용할 때 수정하려 든다. 이 단어는 이들이 마치 “더 뛰어나고”, “더 진보됐으며”, “더 특별하다”는 뉘앙스를 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나는 이 단어를 단순히 특정 집단을 지칭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 “엘리트”는 우리 삶을 지배하고, 그들만의 “의제(agenda)”를 통해 우리가 그들의 통제를 받거나 제거되기를 바라는 자들이다.그렇다면 이들이 실제로 누구이며 어떤 공통점이 있을까? 무엇보다도 이들은 막대한 돈을 가지.. 2025. 4. 13.
일론 머스크가 소비자금융보호국(CFPB)를 해체하려는 이유 엘론 머스크가 CFPB(소비자금융보호국) 해체를 시도함으로써 얻는 잠재적 수혜자는 테슬라 주식 발행을 담당해 온 월가의 메가뱅크들임.머스크는 트위터 인수 자금을 포함해 개인 대출을 위해 테슬라 주식을 담보로 제공했으며, 이는 주가 하락 시 추가 매도 압력으로 이어질 수 있음.CFPB는 머스크 및 그 연계 은행들을 조사 중이었으며, 현재 이 기관의 기능이 대폭 약화된 상태임.2025년 2월 28일, Wall Street On Parade는 엘론 머스크가 CFPB(Consumer Financial Protection Bureau, 소비자금융보호국)를 해체하려는 시도가 월가 대형은행들에게도 막대한 이익을 줄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이들 은행은 테슬라의 IPO(2010년 나스닥 상장) 및 이후 수차례의 주식 발행.. 2025. 4. 13.
트럼프 관세 정책의 의도를 알아보자 -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국내외에서 개인 권력을 강화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음.- 미국 시장 접근을 외교 무기로 활용하며 동맹국과 적국 모두에게 영향력 확대 시도.- 국제 정세 악화 속에서 무역 및 안보정책의 본질적 의도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음.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급조된 관세 계획은 세계 금융 시장에 충격을 주고 있으며, 민주당조차 하지 못했던 두 가지 결과를 만들어냈다. 첫째, 이 계획은 트럼프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 중 첫 번째 진정한 위기를 초래했고, 둘째, 미국 유권자들로 하여금 대통령의 직무 수행 능력에 의문을 제기하게 했다.그러나 지금은 트럼프 대통령이나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GA)’ 운동을 조기에 평가절하할 때가 아니다. 2015년 트럼프가 트럼프 타워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 2025. 4. 8.
한국 사회, 지금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가 1. 한국은 세계에서 유례없는 저출산 위기를 겪고 있음.2. 출산율 2.1명은 인구 유지에 필요한 기준이나, 2023년 한국의 출산율은 0.72명에 불과함.3. 서울의 출산율은 더욱 낮아 0.55명 수준이며, 이는 세계 최저 기록임.4. 현재 추세가 유지된다면 한국 인구는 4세대 내에 100명이 5명으로 줄어들게 됨.5. 인구 구조는 이미 무너지고 있으며, 50세 4명당 1세 아동이 1명인 상황임.6. 현재 한국의 인구는 최고치를 기록 중이지만, 이는 곧 급격한 감소로 이어질 전망임.7. 유엔의 저출산 시나리오에 따르면 2060년까지 인구는 30% 감소할 것으로 예측됨.8. 2060년 한국은 인류 역사상 가장 고령화된 국가가 될 예정임.9. 전체 인구의 절반이 65세 이상, 25세 미만은 10% 이하, .. 2025. 4. 3.
포트 녹스에는 얼마나 많은 금이 보관돼 있을까? • 포트 녹스는 미국 재무부 금 보유량의 절반 이상을 보관하며, 현재 약 4,175톤의 금이 저장되어 있다.• 이 양은 스위스 중앙은행 보유량의 4배, 중국 전체 금 보유량의 절반에 해당한다.• 보안이 극도로 철저하며, 누구도 금고를 단독으로 열 수 없도록 설계돼 있다.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는 “정말 금이 있는지 확인하겠다”며 포트 녹스를 방문하겠다고 약속했다.포트 녹스는 공식적으로 미국 재무부가 보유한 총 4,280억 달러 상당 금 중 절반 이상을 저장하고 있는 미국 금괴 예치소(Bullion Depository)다.이번 비주얼 자료는 포트 녹스의 금 보유량을 전 세계 중앙은행의 금 보유량과 비교해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데이터는 미국 조폐국(U.S. Mint)과 세계금협회(World Gold Cou.. 2025. 3. 27.
우리나라는 해외 원조를 얼마나 할까? • 외국 원조에 있어 OECD 국가 중 2022년 기준 0.15% 이상을 지원한 나라는 룩셈부르크, 스웨덴, 노르웨이 3개국뿐이다. • 미국은 GNI 대비 비율은 낮지만, 금액 기준으로는 세계 최대 원조국으로 전체 인도적 지원의 40%를 차지했다. • 외국 원조는 위기 대응에 유용하지만, 정치 개혁을 저해하거나 부패를 방치하는 부작용 사례도 존재한다.  이 그래픽은 대부분 고소득 국가들로 구성된 OECD 회원국을 기준으로, 2022년 최빈국(LDCs)에 대한 순수 공적개발원조(ODA)를 국내총소득(GNI) 대비 비율로 측정해 순위를 매긴 것이다. 이 수치는 UN이 추적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며, 1980년대부터 제시된 기준선인 GNI의 0.15%를 초과한 국가는 단 3개국에 불과했다. 주요 국가 순위 (.. 2025. 3.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