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aily

(2024.10.21) 금리 상승으로 인한 주가 변화, 트럼프 집권 예상

by iDhoons 2024. 10. 21.

[Daily Summary]

  • 핵심1 요약(미국시장): S&P 500 지수 0.4% 상승, 기업 실적 호조에 힘입어 상승세 유지
  • 핵심2 요약(한국 시장): KOSPI 0.6% 하락, 반도체 업종 약세로 인해 하락
  • 핵심3 요약(기타 중요한 사항): 중국 GDP 성장률 4.6% 기록, 예상치 부합

[주요국 경제 동향]

*미국

  • 주요 이슈: 기업 실적 시즌 본격화, 75%가 예상을 상회하는 실적 발표
  • 시장 동향: S&P 500 +0.4%, 나스닥 +0.6%, 다우존스 +0.1%
  • 심층 분석: 넷플릭스의 호실적(+11.1%)이 기술주 상승을 견인, 금리 상승에도 불구하고 실적 호조로 상승세 유지

*중국

  • 주요 이슈: 3분기 GDP 성장률 4.6% 발표, 예상치 부합
  • 시장 동향: 상하이종합 +2.9%, 심천종합 +4.1%
  • 심층 분석: 경제 지표 호조와 인민은행의 금리 인하 예고로 투자 심리 개선

*유럽

  • 주요 이슈: ECB의 금리 인하 기대감 확산
  • 시장 동향: EuroStoxx50 +0.8%, DAX +0.4%, CAC 40 +0.4%
  • 심층 분석: 12월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한 기대로 투자 심리 개선

*일본

  • 주요 이슈: 미국 증시 호조 영향으로 상승
  • 시장 동향: Nikkei 225 +0.2%, TOPIX 변동 없음
  • 심층 분석: 글로벌 경기 회복 기대감으로 수출 관련 종목 강세

*한국

  • 주요 이슈: 반도체 업종 약세로 인한 지수 하락
  • 시장 동향: KOSPI -0.6%, KOSDAQ -1.55%
  • 심층 분석: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주요 반도체 기업 주가 하락이 지수 하락 주도

[외환시장 동향]
달러 인덱스 0.3% 하락, 엔화 강세(USD/JPY -0.3%), 유로화 강세(EUR/USD +0.3%)
ECB의 금리 인하 기대감과 일본 당국의 구두 개입으로 인한 엔화 강세

[상품시장 동향]
WTI 원유 2.1% 하락, 금 0.8% 상승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 기대로 유가 하락, 안전자산 선호로 금 가격 상승

[주요 이벤트]

  • Review:
    중국 3Q GDP 4.6% (예상 4.6%, YoY) 중국 9월 소매판매 3.2% (예상 2.5%, YoY)중국 9월 산업생산 5.4% (예상 4.6%, YoY)
  • Preview:
    중국 10월 인민은행 1년 LPR (예상 3.15%) 중국 10월 인민은행 5년 LPR (예상 3.65%) 미국 9월 경기선행지수 (예상 -0.3%, MoM) 일본 9월 소비자물가 2.4% (예상 2.3%, YoY)

글로벌 금융 시장은 미국 기업들의 호실적과 중국의 경제 지표 호조에 힘입어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미국 S&P 500 지수는 0.4% 상승하며 6주 연속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넷플릭스의 실적 호조가 기술주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중국 시장은 3분기 GDP 성장률이 예상치에 부합하는 4.6%를 기록하고, 인민은행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강세를 보였습니다. 유럽 시장도 ECB의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상승했습니다. 한편, 한국 시장은 반도체 업종의 약세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Positive]

  1. 미국 기업들의 실적 호조가 지속되고 있어 투자 심리 개선에 긍정적입니다.
  2. 중국의 경제 지표 호조와 추가 경기 부양책 기대감이 아시아 시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ECB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유럽 시장의 상승 모멘텀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Negative]

  1. 미국의 지속적인 금리 상승이 향후 기업 실적과 경제 성장에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2.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여전히 불확실성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3. 한국 등 일부 국가의 반도체 업종 약세가 글로벌 기술주 투자 심리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