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세계 경제 포럼(WEF)은 900명 이상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향후 가장 영향력 있는 글로벌 리스크를 조사했다. 단기(2년)와 장기(10년)로 구분된 이번 보고서에서는 기술적, 환경적, 지정학적, 사회적 요인이 주요 위험 요소로 분석되었다.
1. 단기(2년) 주요 리스크
- 허위 정보 및 가짜 뉴스 확산
- AI 기반 콘텐츠 생성 도구의 발전으로 인해 허위 정보 확산이 가속화됨.
- 극단적 기상 현상
- 기후 변화로 인한 홍수, 태풍, 가뭄 등의 증가.
- 국가 간 무력 충돌
- 지정학적 긴장 고조로 인한 군사적 갈등 확대.
- 사회적 분열
-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갈등 심화.
- 사이버 스파이 및 전쟁
- 국가 및 기업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 공격 증가.
- 오염
- 환경오염 및 대기질 악화 문제 지속.
- 불평등 심화
- 경제적 불평등 및 기회 격차 확대.
- 비자발적 이주 및 강제 이주
- 분쟁과 기후변화로 인한 난민 증가.
- 지정학적 경제 대립
- 무역 갈등과 경제 제재로 인한 불안정성 증가.
- 인권 및 시민 자유 침해
- 권위주의적 통제 강화 및 표현의 자유 제한.
2. 장기(10년) 주요 리스크
- 극단적 기상 현상
- 기후 변화로 인한 자연재해 심화.
- 생물다양성 감소 및 생태계 붕괴
- 종 멸종과 환경 파괴 가속화.
- 지구 시스템의 중대한 변화
- 기온 상승, 해수면 상승 등의 장기적 영향.
- 자원 부족
- 물, 식량, 에너지 자원의 고갈 가능성.
- 허위 정보 및 가짜 뉴스 확산
- AI와 SNS의 발전으로 인해 정보 왜곡 지속.
- AI 기술의 부정적 결과
- 자동화로 인한 일자리 감소 및 AI의 오남용 문제.
- 불평등 심화
- 계층 간 격차 확대 및 사회적 불만 증가.
- 사회적 분열
- 정치적 양극화와 문화적 갈등 지속.
- 사이버 스파이 및 전쟁
- 장기적으로도 사이버 보안 위협 증가.
- 오염
- 장기간 누적된 환경오염이 건강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 확대.
결론
단기적으로는 허위 정보 확산과 지정학적 갈등이 가장 큰 위협으로 분석되었으며, 장기적으로는 기후 변화와 환경 위기가 인류에게 가장 심각한 도전 과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기후 대응 전략,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 국제적 협력이 중요한 해결 방안으로 제시된다.
출처: World Economic Forum, Global Risks Report 2025
'국제 | 사회 |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세계 지도자 지지율은? 대한민국 지도자는? (0) | 2025.02.14 |
---|---|
한국과 미국의 관세 차이는? 아시아 국가별로 알아보자 (0) | 2025.02.14 |
2024년 미국의 자동차 시장 점유율,현대는 몇 위일까? (0) | 2025.02.14 |
미국의 추가 관세 부가에 따른 중국의 대응은? (0) | 2025.02.05 |
각국의 기대수명 순위와 경제의 상관관계는? (0) | 2025.02.01 |
댓글